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통

한눈에 보는 190가지 자동차용어 총정리 이것으로 끝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전국민의 건강 지킴이 헬스키퍼 입니다.

 

오늘은 우리 생활에서 꼭 없어서는 안될 자동차용어 관련 주제를 준비해보았습니다. 자동차에 관심이 많으신 덕후 분들이라면 너무 쉬운 부분일수 있겠지만 저처럼 자동차에 관해 문외한인 사람일 경우는 너무 생소한 용어들이 많아서 글을 포스팅하면서 많이 배우게 되었습니다. 약 190가지 자동차용어들이 있는데 처음부터 다 알려는 생각보다는 모르는 용어가 나올때마다 찾아오셔서 보시는 센쓰? 자세하게 준비했으니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90가지 자동차 용어 총정리

 

 용어 종류(영어)

 용어 종류(한국어)

 ABS(Anti-lock Brake System)

 잠김 방지 브레이크 시스템

 ASR(Anti-spin Regulator)

 차륜공전 조절장치

 ATS(Air Temperature Sensor)

 흡기 온도 센서

 BAS(Brake Assist System)

 브레이크보조장치

 BCPS(Balanced Canister Purge Solenoid)

 캐니스터 플러그 발란스유지장치

 BL(Bow Line)

 차량의 횡축

 BOM(Bill of Material)

 부품구성표

 Buy-Off(Buy-Off)

 최종 결정 여부 판단(최고경영자)

 C/F(Checking Fixture)

 검사기구

 CAD(Computer Aided Design)

 도면프로그램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

 컴퓨터해석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시제품제작
 CHMSL (침슬)(Center High Mounted Stop Lamp)

 정지등(후위중앙설치)

 CIM(Computer Intergrated Manufacturing)

 기업 경영 활동을 통합하는 시스템

 COP(COP)

 양산검사

 CPS(Crank Position Sensor)

 크랭크 센서

 CTS(Coolant Tamperature Sensor)

 냉각수온센서

 DOHC(Double Over Head Camsahft)

 캠샤프트 엔진형태
 EAT/ECT/전자제어 오토매틱  주행안정제어방법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배기가스재순환장치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전자식 주행 안전 장치

 ETS(Electronic Traction System)  구동력제어장치
 FMVSS(Fed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미연방 자동차 안전기준
 GVW(Gross Vehicle Weight)  차량의 총 중량
 HLLD(Head Lamp Leveling Device)  헤드램프의 높낮이 스위치
 IACV(Idle Air Control Valve)  공기의양 조절 밸브
 LSPV(Load Sensing Proportioning Valve)  제동압유지장치
 MPI(Multi Point Injection).  연료 다중분사 방식엔진
 MPV(Multi Purpose Vehicle)

 다목적차량

 NVH(Noise, Vibration & Harshness)  부품소음진동
 O2 Sensor  산소센서
 OBD(On Board Diagnostics)

 자동차스마트진단기

 RON(Research Otane Number)

 C3H8의 함유비율

 RV(Recreational Vehicle)

 레져용차량

 SPI(Single Point Injection)

 엔진연료분사방식

 SUV(Sports Utility Vehicle)

 스포츠유틸리티차량

 TL(Transverse Line)

 차량의종축

 TPS(Throttle Position Sensor)

 스로틀바디에 장착되어있는 센서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차대번호(17자리의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

 WL(Water Line)

 자동차 바퀴부터 루프까지 나눈 선

 걸 윙 도어(Gull Wing Door)

 문이 열린 모습이 날개를 펼친형상과 비슷하다고 붙여진 명칭

 공기항력계수  공기의 흐름에 대한 형태의 계수
 공력(空力)  고속주행시 차체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힘
 그린하우스(Green House)  온실효과
 기어 레이쇼(gear ratio)  기어비에 대한 배분에 관한 설계
 노즈/테일(Nose/Tail)

 유체역학의 안전성 관련 용어

 노치백(Notch Back)  세단 승용차 뒷모습
 도어 힌지(Door Hinge)

 문 연결부위

 도어로크(Door Lock)  셀프캔슬이라고도함
 도어미러(Door Mirror)  운전자 가까이에 있는 도어미러
 랙 앤드 피니언 방식(rack and pinion type)  작은기어와 톱니를 가진 스티어링 장치
 러기지 스페이스(Luggage Space)  트렁크
 매뉴얼 시프트(manual shift)  오토를 수동으로 바꾸는 방법
 모노코크 보디(Monocoque Body, Unit Constraction Body)

 프레임을 일체형으로 만들어 힘을 분산시키는 방법

 모델 이어(Model Year)  모델 변경 시점
 몰딩(Moulding)

 자동차 바디 및 도어 내장 관련 용어

 미드쉽스타일(Midship Style)  엔진 무개중심이 중심에 두는 방식
 바이 오프(Buy Off)  자동차 양산여부 결정
 반클러치

 클러치 운전 방식(언덕길에서 뒤로 안밀림)

 벨트 라인(Belt Line)

 유리창과 벽체의 경계선

 보디 사이드 트림(Body Side Trim)  트림의 내장 방법
 보디 쉘(Body Shell)

 사람이 오르내리기 차체 바깥부분

 부분강화유리  대부분 앞창유리에 많이 사용
 사각 헤드램프  헤드램프 모양(둥근건, 네모난것)
 선 바이저(Sun Visor)  직사광선으로부터 운전자 눈 보호
 세그먼트(Segment)

 컴퓨팅 기억장치의 영역

 셀렉터 레버(selector lever)  수동 변속차의 시프트 레버

 수막 현상(하이드로 플레이닝)

 타이어와 길사이의 수막이 형성되어 순간적으로 제어가

 되지 않는 현상

 슈퍼차져(Super Chager)

 엔진의 출력축으로 구동되는 펌프를 이요하여 대기압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혼합기를 공급하는 장치

 스킨 체인지(Skin Change)

 외관상의 변화로 이미지 체인지를 하는 것을 말함

 스트레이크(Strake)

 공기의 양력 관련 용어

 스티어링(steering)

 자동차 조향장치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

 스티어링 기어 비

 스티어링 기어 박스 효율

(steering gear box efficiency)

 조향기어를 나타내는 말

 스티어링 기어비(steering gear ratio)  스티어링 기어 비율
 스티어링 댐퍼(steering damper)  스티어링 샤프트에 장착된 다이나믹 댐퍼
 스티어링 록(steering rock)  스티어링 휠의 회전을 잠금시켜 도난을 방지한 장치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스티어링 기어에 전달하는 샤프트
 스티어링 오프 센터(steering off center)  스티어링 휠이 중심을 벗어나는 현상
 스티어링 지오메트리(steering geometry)

 스티어링 기구에서 각 부품의 치수나 위치 관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의 총칭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  스티어링 샤프트를 감싼 튜브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차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기구
 스포일러(Spoiler)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작용
 슬라이드 도어(Slide Door)  보디선과 평행하게 열리는 도어
 슬림-짐(Slim-jim)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의 잠김상태를 해제 시키려는 행위
 시트(Seat)  운전자 및 탑승자의 피로도 해결
 시트 어저스터(Seat Adjuster)

 전자(또는 승객)의 체위에 맞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장치

 시트 커버(Seat Cover)  포장, 표면, 외형의 역할을 하며 안락감을 부여하는데 재질
 시트 프레임(Seat Frame)  시트어셈블리의 구조물
 시프트 노브(shift knob)  시프트 레버 끝에 붙어 있는 손으로 잡는 부분
 시프트 레버(shift lever)  기어 체인지 레버
  시프트 록(Shift Lock)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후에도

 변속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시프트 패턴(shift pattern)  수동기어 차의 트랜스미션 레버조작을 나타낸 도형
 실드빔(Sealed Beam)   램프 유니트 전체를 하나로 한 것
 싱크로메시(synchromesh)

 감속비가 다른 기어를 맞물리게 하기 전에 원추형의 원판을

 서로 마찰시켜 회전속도를 일치시킨 뒤 힘을 전하는 장치

 쐐기(Wedge)  차체의 전면부가 낮고 뒷부분이 높은형태
 안개등(Fog Lamp)  보조등
 암 레스트(Arm Rest)

 팔꿈치를 올려놓게 하는 곳

 어깨선  차체의 면이 꺾여 연장되어 나타나는 라인을 비유하는 말
 어셈블리(assembly)  여러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일체가된 부품
 어시스트 그립(Assist Grip)

 대부분이 도어 위쪽에 잡을 수 있게 붙어있는 손잡이

 언더보디/사이드보디

(Under Body/Side Body)

 보디 측면 즉 도어 둘레를 말함
에이펙스(Apex)  차체의 앞쪽 끝을 뽀족하게 만든 것을 의미
 엔캡(NCAP)  신차검증프로그램
 엠블렘(Emblem)

 메이커와 차의 이름 등을 디자인한 마크

 열선유리

 전기를 통하여 유리를 따뜻하게 해주는 것

 오메가구간(Omega)  오메가 모양으로 휘어진 급커브 구간
 오버 드라이브(over drive)  고속으로 달릴 때 연비를 좋게 하고 엔진음 김소
 오버 펜더(Over Fender)  삐져 나온 타이어를 덮기 위한 펜더
 오버항(Overhang)  구조물의 길이
 오토래쉬  유압식 자동밸브조정장치로 밸브간극 조절
 오픈 스토퍼(Open Stopper)

 도어가 쉽게 움직이지 않게 한 장치

 원심진각장치  디스트리뷰터(배전기)내의 기계장치
 웨더스트립(Weatherstrip)  도어가 진동되는 것을 막는 구실
 웨이스트 라인(Waist Line)

 차체에서 벨트라인과 로커 패널사이의 스타일적 처리나

 면의 변화를 주는 방법에 따라 형성되는 라인

 윈도우 그래픽(Window Graphic)

 유리창의 모양이 그 형태위에 그려 졌다는 개념

 윈도우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  창문의 유리를 오르내리게 하는 장치
 윙커(Winker)  깜박이 또는 플러셔
 유압 클러치  오일의 압력으로 클러치가 끊어질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
 윤거(輪距)(Tread)  좌측 바퀴의 중심선과 우측바퀴의 중심선간의 폭
 인터쿨러(Inter Cooler)

 과급압력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밀도를 더욱 증가시켜

 엔진성능 개선하는 장치

 자동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  자동화한 변속기
 종치(Longitudial Mounting)  엔진을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
 차일드 록(Child Lock)  차가 달리는 중에 도어가 열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 장치
 카울(Cowl)  프론트 윈도와 연결된 앞쪽 패널 부분
 칼럼 시프트(column shift)  시프트 레버가 핸들의 기둥(칼럼)에 붙어 있는 타입
 캐릭터 라인(character Line)  일반적으로 팬더에서부터 뒤 데크(Deck)까지 연결되는 선
 캐빈 스페이스(Cabin Space)

 승용차 실내의 넓이

 캠버(camber)  타이어의 중심선이 수직선에 대해 어떤 각도
 캠버각(camber angle)  타이어의 중심선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
 커먼레일(Common Rail)

 엔진이 혼합기를 통해 연료와 공기를 연소실에 공급하는 것

 콕피드(cockpit)

 차에서는 운전석 주위를 뜻함(핸들, 대쉬보드 등)

 크로스멤버/사이드멤버

(Cross Member/Side Member)

 언더 보디 등에 쓰이는 뼈모양의 것
 크립(creep)

 전진과 후진(R, D, 2, 1 등) 레인지에 셀렉터 레버를 넣으면

 차가 조금씩 나아가는 현상

 클러치(clutch)  엔진의 동력을 잠시 끊거나 이어주는 장치

 클러치 디스크/라이닝

(clutch disc/lining)

 마찰로 힘을 전하는 마찰원판
 클러치 슬립(clutch slip)  클러치가 미끄러지는 것

 클러치 프레셔 플레이트

 (clutch pressure plate)

 클러치 디스크에 균등하게 전해 밀어붙이거나 떼어내는

 일을 하는 둥근 판

 킥 다운(kick down)

 오토매틱 차의 특징 중 하나로 액셀 페달을 세게 밟아 주면

 순간적으로 메인기어가 작은 기어와 물려 힘이 세지는 현상

 터보차져(Turbo Chager)  콤프레셔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장치

 테일 게이트(Tail Gate)

 해치백 차량의 뒤쪽에 유리창과 함께 열 리는 백도어를 말함

 토아웃(toe-out)  토인의 반대로 앞바퀴의 앞이 넓어진 것을 의미
 토인(toe-in)  앞의 두바퀴가 앞쪽으로 약간 좁아진 것을 의미
 토크(torque)  어떤것을 어떤점 주위에 회전시키는 효과( 회전력)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  토크를 조절해주는 장치
 트랜스미션(transmission)  힘의 크기를 조절하는 변속기
 트렁크(Trunk)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
 트렁크 라인(Trunk Line)  트렁크부분의 형상
 트렁크 리드(Trunk Lid)  트렁크 룸을 여닫는 철판으로 리드는 뚜껑이란 뜻
  티어 다운(Tear Down)  신차종 개발시 반영하도록 하는 설계 기법의 하나
 패널(Panel)

 일체 프레스된 외판과 내판을 말함

 패드(Pad)  충돌 때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서 만든 부분
 패스트 백(Fast back)  뒷 유리와 데크가 하나의 흐름을 가지는 면
 패키지 트레이(Package Tray)

 글로브 박스 밑에 노트와 지도 등을 둘 수 있게 한 접시

 모양의 부분으로 보조적인 수장공간

 페이드

 브레이크를 혹사시키면 과열되어브레이크 마찰부분의

 마찰계수가 줄어들어 브레이크의 효용이잘 듣지 않는 현상

 페이스 리프트(Face Lift)  차량의 앞이나 뒤쪽의 모양 일부분만을 변경하는 것을 뜻함
 펜더(Fender)  타이어를 덮고 있는 부분
 펜더미러(Fender Mirror)  런트 펜더의 좌우측에 붙은 백미러로 아웃사이드 미러
 풀 모델 체인지(Full Model Change)  차량의 전체 스타일과 구조를 변경하는 것
 퓨전 카(Fusion Car)  서로 다른 형태의 자동차가 하나로 결합된 형태
 프런터 스커트(Front skirt)  차에서는 앞부분을 가리는 것

 프런트보디/리어 보디

(Front Body/Rear Body)

 엔진과 앞 서스펜션, 라디에이터, 스티어링 기어박스 등이

 붙어 있는 곳

 프레임(frame)  새시를 각 장치나 차체를 설치하는 부분
 프로토 타입(Proto Type)  주로 시험제작 차량을 뜻하는 말
 플레어(Flare)

 태양광선이 부드럽게 퍼지는 효과를 내기 위하여 면 처리를

 오목하게 만든 형상

 플로어(Floor)  차의 내부 바닥
 플로어 시프트(floor shift)  운전석 옆의 플로어(바닥)에 시프트 레버가 붙어 있는 타입
 피에조 입력변환센서(Piezo electric type trancducer sensor)  기계적 진동을 가하면 전기적 진동으로 변환 장치

 피이튼(Phaeton)

 운전석과 조수석의 앞좌석과 뒷좌석이 벽체로써 구분되어

 있는 구조

 필러(Pillar)

 도어부와 천장의 중간에 있어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기둥

 하드탑(Hard top)

 컨버트블형 차량에 철제지붕을 얹은 개념

 할로겐 램프(Halogen Lamp)

 수명이 길고 포그램프에서 더 많이 사용

 합판유리

 승객에게 미치는 피해를 적게 하기 위해 특별히 만든 유리

 해치백(Hatch back)

 차체 뒤쪽에 테일게이트(Tail gate)를 가져서 뒤쪽에 큰

 개구부가 생기는 구조

 헤드 라이닝(Head Lining)

 천장 내장부를 말함

 헤어핀구간(Hair Pin)

 여성의 헤어핀 모양으로 휘어진 급커브 구간

 횡치(Transverse Mounting)

 엔진을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하는것

 

약 190가지의 자동차 용어를 정리해 보았는데요~ 저도 차에대해서 관심은 많지만 이렇게 많은 용어가 있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습니다. 제가 준비한 작은 내용들이 모여 평상시 차량 관리시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